헤타이로이

2017. 1. 11. 20:23잡학

반응형

헤타이로이

Companion cavalry

Hetairoi

 

 


 

 헤타이로이(그리스어: ἑταῖροι)는 동료라는 뜻을 가진 정예 기병대로, 필리포스 2세 때, 창설되어 알렉산드로스 대왕 밑에서 가장 큰 명성을 얻었다. 뿐만 아니라 최초의 충격 기병이자 고대 최고의 기병[1]으로 여겨져왔다. 왕의 근위대, 소마토퓔라케스(Somatophylakes)는 이 헤타이로이에서 선발하였다.

 


어원

 이 부대는 왕의 근처에 있었기에 헤타이로이라 불렸다. 이들은 왕에게 직접 말을 걸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함께 식사도 할 수 있었다. 또한 헤타이로이는 마케도니아 귀족 뿐만 아니라 마케도니아와 우호적인 그리스 평민들도 그 일원이 될 수 있었다. 왕과 그의 동료들이 서로 신성한 관계로 엮여지는 헤타이리데이아(Hetairideia)[2]가 열리기도 하였으며, 유명한 아테네 극작가 에우리피데스(Euripides)는 아르켈라오스 1세(Archelaus)에게 헤타이로스로 임명되었다.[3] 평생 국왕을 모신 자는 마케도니아 귀족들에게 왕가의 친구들(퓔로이, Philoi) 혹은 왕의 동료들(바실리코이 헤타이로이, basilikoi hetairoi)이라 불렸다.


 


부대

장비

 헤타이로이는 가장 좋은 말에 타고 가장 좋은 무기를 받았을 것이다. 알렉산드로스의 시대에 그들은 크시스톤(xyston)과 청동 흉갑, 어깨 보호대와 보이오티아 투구로 무장했으나, 방패는 착용하지 않았다.[4] 크시스톤이 부러질 때의 근접전을 위해 코피스(kopis, (베는 용도의 곡도)도 가지고 다녔다. 그들의 말은 두꺼운 펠트로 자신의 측면을 둘러싼 반면, 가슴의 일부와 머리에는 창과 사출 무기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금속 판을 두르기도 했을 것이다.

 

조직

 헤타이로이는 왕의 동료, 주로 말과 무구를 취득하고 유지할 수 있는 상위 계층 시민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필리포스 2세와 알렉산드로스 시대에 그들은 일라이(ilai)라는 8개의 지방 대대를 조직하였다. 각 대대, 일레(ile)는 200에서 300명의 기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5][6] 지휘관은 두 명이었다. 아리아누스에 따르면 알렉산드로스는 '그의 절친한 친구가 아니라면, 그 어느 누구에게도 집중적인 관심을 가지려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7] 수사에서 병력을 충원한 후, 알렉산드로스는 각 대대 당 2개의 중대를 편성하였다.[8] 그들은 자신의 지휘관의 이름 혹은 소집된 지명의 이름으로 불렸다. 왕실 일레는 알렉산드로스 자신이 지휘하였으며, 병사의 수는 다른 부대보다 약 두 배쯤 되는, 400명으로 구성되었다.[6] 비록, 모든 헤타이로이는 대개 알렉산드로스가 지휘하였지만, 때때로 이 기병 대대들 중 두 개, 세 개 혹은 네 개 부대가 합쳐져 히파르키아(hipparchia)가 편성되어 히파르코스(hipparchos)에게 지휘받기도 했다.[6]

 알렉산드로스의 발칸 반도 원정에서 상(上) 마케도니아, 암피폴리스(Amphipolis)와 중앙 마케도니아 평원의 헤타이로이에 대한 언급을 찾을 수 있다.[9][10] 그라니코스로 진격하는 동안, 소크라테스(철학자와는 동명이인, Socrates)가 지휘한 대대가 볼베(Bolbe) 호의 아폴로니아 출신이었다.[10] 아리아누스는 이수스 전투에서 안테무스(Anthemus, 근대의 Galatista) 일레와 정체불명의 레우게의 땅―아마도 피에리아(Pieria)의 다른 자들도 언급하였다.[11]

 테오폼푸스는 헤타이로이가 기원전 4세기 중반에 창설되었을 것이며, '그 때에는 800명도 안됬을 것이며, 마케도니아와 테살리아 그리고 다른 그리스 지역에서 징집되었다'라고 기록하였다.[12] 기원전 338년, 알렉산드로스는 자신의 헤타이로이가 2600명정도 될 것이라고 말하였다.[13] 알렉산드로스의 군대가 인도까지 원정함에 따라, 헤타이로이 내에서 이민족(바르바로이)의 역할이 증가하였고 이는 오피스(Opis) 항명 사태에 부분적인 원인이 되었을 것이다.[14][15] 한 때는, 4개의 히파르키아가 동방의 병력으로, 한 부대는 동방과 마케도니아의 혼성으로 이루어진 적이 있었다.[14]

 

 

전술과 운용

 비록 이런 식의 운용은 고대 사료에 그다지 기록되어 있지는 않지만, 헤타이로이는 아마 밀집한 보병에 돌격할 수 있는 최초의 충격 기병으로 구성되었을 것이다. 당대의 기병은―더 두껍게 무장했을 때 조차― 보통 투창으로 무장하고, 백병전을 피했을 것이다.

 그들은 전투에서 망치와 모루 전술의 일부를 구성하였다. 헤타이로이는 망치, 마케도니아 팔랑크스에 기반한 보병은 모루가 되어 합동 전술을 구사하였다. 팔랑크스가 적을 붙잡아두는 사이, 헤타이로이는 적의 측면이나 후방을 공격하였다.

 전투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헤타이로이 왕실 대대의―보통 쐐기 진형을 취하는― 선두에서 돌격을 지휘하였다. 회전(會戰)이 시작되면, 헤타이로이는 보통 마케도니아군의 우익, 팔랑크스의 우측을 지키는 방패잡이, 히파스피스트(Hypaspists)의 옆에서 싸웠다. 다른 기병은 마케도니아 전열의 측면을 지켰을 것이다. 알렉산드로스의 지휘 아래, 헤타이로이의 역할은 아시아에서의 전투 대부분에서 결정적이었다.

 



유산

헬레니즘 왕국

 디아도코이(알렉산드로스 계승 국가들)의 헤타이로이는 더욱 중무장하였다. 셀레우코스의 헤타이로이는 부분 마갑과 팔과 다리 보호대로 무장했으며, 기원전 190년의 마그네시아 전투에서는 카타프락토이보다 가볍게 무장하였으나 다른 때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헤타이로이는 필리포스 2세와 알렉산드로스와는 달리 큰 원형 기병 방패, 아스피스로 무장하기도 하였다. 셀레우코스 제국에서는 '헤타이로이'를 원래 의미인 동료로 사용하지 않았다. 이 명칭은 좀 더 다르고 다양한 '왕의 친구들'의 계층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헤타이로이라는 그 이름은 연대급 병력을 가리키는 말로 여전히 남아있었다. 헬레니즘 시대를 통틀어서 헤타이로이라는 이름은 오직 특정한 하나의 연대나 부대에게만 주어졌다. 안티고노스 왕조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자신의 정예 기병 연대에게 다른 이름을 붙여주었다.

 

동로마 제국

  1. ^ Diodorus Siculus, Arrian
  2. ^ Winthrop Lindsay Adams. Alexander the Great: legacy of a conqueror. p 8. ISBN 0321086171. (2004)
  3. ^ John V. A. Fine. The ancient Greeks: a critical history. p 612. ISBN 0674033140. (1983)
  4. ^ Lonsdale 40
  5. ^ Fuller 49
  6. ^ a b c Lansdale 41
  7. ^ Sage 185
  8. ^ Arrian, Alexander's Anabasis, III.16
  9. ^ a b Hammond 414
  10. ^ a b Hammond 416
  11. ^ Hammond 415
  12. ^ Sage 173–174
  13. ^ Sage 174
  14. ^ a b Lansdale 56
  15. ^ Arrian, Alexander's Anabasis VII.6

참조

  • Fuller, John Fredrick Charles (2004). The Generalship of Alexander the Great. Da Carpo Press. ISBN 9780306813306.  can be found at Google Books in preview
  • Hammond, Nicholas G. L. (4th Qtr. 1998). "Cavalry Recrutied in Macedonia down to 322 BC.". Historia: Zeitschrift fur Alte Geschichte 47 (4): 404–425. JSTOR 4436520. 
  • Lonsdale, David J. (2007). Alexander the Great:lessons in stategy. Routlidge. ISBN 9780415358477.  can be found at Google Books in preview
  • Sage, Micheal M. (1996). Warfare in ancient Greece. Routlidge. ISBN 9780415143554.  can be found at Google Books in preview
  • 필립 드 수자, 발데마르 헤켈, 로이드 루엘린-존스, 『그리스 전쟁』, 오태경 역, 플래닛미디어, 2009, 359p


반응형

'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엔그린  (0) 2017.01.19
단일신화  (0) 2017.01.15
독일 방범카메라 증설에 여론 분열, 감시인가 치안인가  (0) 2017.01.05
팔랑크스  (0) 2017.01.02
간사이 방언(2)  (0) 2016.12.29